
728x90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주소창에 URI를 통해 접근했을 경우 동작하는 흐름을 간단히 알아보자면
1. DNS, Port 조회
2. 웹브라우저가 HTTP 요청 메시지를 생성
3. Socket 라이브러리를 통해 전달 (TCP 3 way handshake)
4. TCP/IP 패킷 생성
5.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달
6. 전달받은 서버에서 TCP/IP 패킷을 제거하여 HTTP 요청 메시지 확인
7. HTTP 응답 메시지를 생성 후 전달
HTTP 요청 메시지
ex) www.google.com/search?q=통개발&hl=ko
GET /search?q=통개발&hl=ko HTTP/1.1
Host: www.google.com
이런 방식으로 생성된 메시지를 TCP/IP 패킷으로 감싼다고 생각하면 된다.
2021/01/17 - [WEB 기본 지식] - TCP, UDP
TCP, UDP
TCP TCP/IP 이전 게시물에서 설명했던 IP 프로토콜의 한계점인 - 데이터 유실과 손실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는 점 - 보낸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는 점 2021/01/13 - [WEB 기본 지식] - IP(인터넷 프로토콜) 2
tong-dev.tistory.com
HTTP 응답 메시지
HTTP/1.1 200 OK
Content-Type: text/html;charset=UTF-8
Content-Length: 5243
<html>
....
</html>
응답 메시지의 타입과 인코딩 정보 등의 내용을 확인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렌더링 하여 화면에 보여준다.
728x90
'개발 지식 > WEB 기본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메시지 구조 (0) | 2021.01.30 |
---|---|
Stateful, Stateless (상태유지, 무상태) (0) | 2021.01.30 |
TCP, UDP (0) | 2021.01.17 |
IP(인터넷 프로토콜) (0) | 2021.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