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탄력성 - 김주환
기억에 남는 문장
회복탄력성은 성공에 대한 강한 집념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실패에 대한 두려움 없음에서 나온다.
역경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그것을 도약의 기회로 사는 것,
그것이 바로 회복탄력성의 핵심이다.
남을 행복하게 해 줘야만 우리는 스스로 행복해질 수 있다.
우리의 뇌는 그렇게 진화되어 왔다.
공동체의 행복에 봉사하도록 우리의 뇌는 프로그램되어 있는 것이다.
당신 주변에 혹시 이상하고, 나쁘고, 사악하고, 부정적인 사람이 유난히 많다고 느끼는가?
그렇다면 그것은 당신 자신의 부정적 감정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으니, 스스로 한번 돌이켜볼 일이다.
자신이 하는 일을 '참으면서'하는 사람이 위대한 업적을 남긴 예는 없다.
리더십을 잘 발휘할 수 있느냐의 문제는 결국 주변 사람들에게 얼마나 행복을 잘 나눠줄 수 있느냐의 문제다.
내용 정리
1. 회복탄력성의 첫 번째 요소
'자기조절능력' 이란?
감정조절력 + 충동통제력 + 원인분석력
스스로 감정을 인식하고 그것을 조절하는 능력
2. 회복탄력성의 두 번째 요소
'대인관계능력'이란?
소통능력 + 공감능력 + 자아확장력
다른 사람의 마음과 감정 상태를 재빨리 파악하고, 깊이 이해하고, 공감함으로써 원만한 인간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능력
3.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
- 자신의 대표 강점 발견하기
- 약점 보완보다는 강점에 집중하고 발전시켜라
- 긍정적 정서 갖기
- 스스로 행복해짐으로써 자기 통제력을 높임
- 자신의 행복을 타인에게 나눠줌
- 긍정적 정서를 위한 습관
- 감사하기
- 사람은 감사하는 감정을 가질 때 심장박동수가 매우 규칙적으로 변하게 된다.
(휴식을 위할 때 보다 더)
- 사람은 감사하는 감정을 가질 때 심장박동수가 매우 규칙적으로 변하게 된다.
- 규칙적인 운동
- 몸을 움직이면 뇌가 건강해진다.
- 감사하기
책을 통해 느낀 점
누구나 살다 보면 크고 작은 시련들을 겪게 된다.
특히 성공을 위해서는 반드시 실패가 필요한 법이다.
어떤 분야에서든 뛰어난 업적을 남긴 사람들은 대부분 역경을 극복한 사람들이다.
회복탄력성(Resilience)은 그런 일들을 이겨내는 힘이다.
간질과 학습장애에다가 식이장애까지 가진 아들을 위해 식품 산업을 개선하여 큰 성공을 거둔 패트리샤.
지독한 가난으로 어린 딸에게 읽어줄 동화책 한 권 살 수 없어서 직접 해리포터를 쓰게 된 조앤 롤링.
회복탄력성이 부족하여, 자신에게 닥친 역경에 굴복하여 처지를 비관하며 살았다면 자멸했을 것이다.
하지만 역경을 오히려 도약의 발판으로 삼아 성공한 사례들이다.
역경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그것을 도약의 기회로 삼는 것, 그것이 바로 회복탄력성의 핵심이다.
역경을 극복한 사람들은 한결같이 자신의 역경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성공과 도약의 발판이자 원동력이라고 말한다.
회복탄력성이 낮은 사람은 흔히 자신에게 닥치는 크고 작은 불행한 사건에 대해
지나치게 개인적이고, 영속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나에게만 일어나는 일이고, 난 항상 이런 일이 일어나고, 난 모든 일이 이렇지 뭐!" 같은 식으로 말이다.
모든 일을 기억하는 것은 스토리텔링이다.
부정적인 사건에 대해 비개인적이고, 일시적이며, 특수한 경우라고 생각하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반대로 좋은 일이 생겼을 경우에는 개인적이고, 영속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즉, 나쁜 일에 대해 축소하고 좋은 일은 확대해서 받아들이는 습관이 필요하다.
이 책을 읽으며 긍정의 힘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단순히 "잘될 거야"라고 낙관적으로 생각하면 좋다가 아닌
뇌과학에 의거하여 설명해 준다는 점에서 긍정심리학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
한줄평
살아가는데 큰 지혜가 되어줄 책.
'자기계발 > 독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사의 신 - 우노 다카시 (1) | 2024.12.21 |
---|---|
미치지 않고서야 - 미노와 고스케 (0) | 2024.12.21 |
클루지 - 개리 마커스 (2) | 2024.11.22 |
책 잘 읽는 방법 - 김봉진 (11) | 2024.10.19 |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 데일 카네기 (2) | 2024.10.19 |